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약 산업
    의료 2016. 2. 5. 13:30

    글로벌 의약전문 조사 업체인 IMS Health에 따르면 2012년 세계제약시장은 전년 동기대비 2.4% 성장한 9,590억 달러 기록하였습니다. 각종 규제정책으로 인하여 성장세가 둔화된 국내 제약 산업과는 달리 세계 제약 산업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세계 제약 산업은 연평균 6.21%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세계 제약 산업은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욕구와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로 견조한 성장세가 지속 될 전망입니다.

       

    [국내의약품 부문별 수출현황]

    [국내의약품 부문별 수출현황]

     

    *출처: IMS Health

       

    한편, 국내제약시장은 식약청에 따르면 국내 의약품시장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6.3%, 2011년 10.2%, 2012년 12.2%로 지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2년 원료의약품 수출액은 1,055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6.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고, 완제의약품은 994백만 달러로 17.4%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개발도상국을 비롯하여 일본과 유럽 등 선진시장으로도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내수시장에서의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국내시장의 성장둔화는 견조한 수출증가세 시현을 통하여 실적개선 및 향후 성장성을 갖추었다고 판단됩니다. 향후 제약시장은 약가인하의 압력을 받지 않는 고마진 품목인 원료의약품의 수출증가세와 국내의약품의 품질개선에 따른 완제의약품의 수출증가세로 향후 성장성은 더욱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의약품 부문별 수출현황]

    [국내의약품 부문별 수출현황]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또한, 2012년 기준 국내 2인 이상 가구 월평균 보건지출액은 15.9만원으로 전체 소비지출금액의 6.46%를 기록하였으며, 국내 가구의 보건관련 지출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6% 이상대로 지속적으로 증가 상황입니다. 특히 2012년 월평균 의약품지출 비중은 보건지출금액의 25.29%를 차지하며, 소득수준의 개선 및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의증대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포함한 보건관련 지출금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전국 2인 이상 가구 보건지출 비중]

       

    [국내 전국 2인 이상 가구 보건지출 비중]

     

    *출처: 통계청

     

    국내에서는 제약 산업의 근본적 구조개선을 위한 규제정책 이후 국내 제약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정책 마련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3년 7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제1차 제약 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에 따르면 R&D투자 지원 및 향후 5년간 5,00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 등 2017년까지 세계10대 제약강국 도약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지원정책 시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제1차 제약 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

    주요목표

    주요내용

    세부방안

    2017년까지

    세계 10대 제약

    강국으로 도약

    - R&D 확대를 통한 개방형 혁신

    - 제약-금융의 결합

    - 우수전문 인력양성

    - 전략적 수출지원

    - 선진화된 인프라 구축

    - 향후 5년간 신약개발 20개 개발

    - 민/관 합동 총 10조원 R&D투자

    - 2013년 1,000억 원 펀드 조성 및 5년간 5,000억 원 규모 펀드 조성

    * 출처: 보건복지부

       

    또한, 2013년 8월 식약청에서 발표한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방안"에 따르면 국내제약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독려 및 적극적 지원을 통하여 국내 제약 산업의 성장성은 더욱더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방안]

    세부사항

    목표

    내용

    바이오시밀러 글로

    벌 시장출시 지원

    현재 1개 품목을 지원을 통해 2017

    년까지 4개 품목의 바이오시밀러를

    확보할 예정이며 세계 항체의약품

    시장의20% 점유를 목표

    -맞춤형 수출지원 프로그램 운영

    -해외 등록 규제정보 및 가이드라인

    조사 ·분석 제공
    -외국 규제기관의 상호협약

    줄기세포 치료제

    육성

    현재 3개 품목을 지원을 통해 2017

    년 6개 품목을 확보할 예정

    -품목별 제품화 지원 민관 협의체 및

    사전검토제
    -제품화 가이드라인 선제적 마련
    -신속 제품화 규제 발굴·정비

    백신 자급률 향상

    현재 필수·대유행 등 접종되는 백신

    28종 중에서 자급 가능한 백신은 8

    종이나 지원을 통해 2017년에는 20

    종까지 확보할 예정

    -백신 생산용 세포주 확립·분양
    -백신 제품화 지원 민·관 협의체 운영

    다국가 임상 수행

    CRO 육성

    현재 해외 진출에 필수적인 다국가

    임상의 수행이 가능한 국내 CRO는

    없는 상황이나 지원을 통해 2017년

    3개사까지 육성할 예정

    -전문 인력 양성 지원
    -자료관리 등 시스템 구축지원
    -인증제 도입

    바이오의약품 전문

    글로벌 CMO 육성

    현재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수탁 생

    산이 가능한 전문제조업체는 없는

    상황이나 지원을 통해 2017년 2개사

    까지 육성할 예정

    -제조시설 없이도 품목허가 가능한

    (위탁제조판매업) 범위 확대
    -CMO 활성화를 위한 규제 발굴·정비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 출처 : 케이비스팩9호 공시 자료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ay 시스템 용어 정리  (0) 2016.02.29
    의료기기산업  (0) 2016.02.06
    바이오 산업 용어정리  (0) 2016.02.04
    바이오시밀러 시장  (0) 2016.02.04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규모는 어떻게 발전이 되었나  (0) 2016.02.0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