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바이오 의약품 산업
    의료 2016. 4. 10. 07:34

    바이오 의약품 산업으로의 변화


    기존 저분자 의약품 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분야가 전체의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국적 제약사들의 바이오 신약은 이미 전 세계 의약품 매출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최근에는 기존 제약사들은 물론 대기업까지 바이오의약품 산업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 바이오의약품 산업에 대한 환경변화 요인

     - 정책. 제도적 환경: 국가 핵심산업으로의 육성.

        ① 정부차원에서 반도체 산업이후 필요한 국가 신성장동력으로써 바이오산업의           중요성 인지 및 육성 의지

        ② 지식경제부가 주도하는 의약바이오 기술로드맵 중에서, 항체의약품을 재조             합생물 의약품 중제2 소분류로 상정하고 "새로운 질병 target 발굴, 염기 서            열의 인간화 기술, 고발현 세포주 제작과 무혈청 배양 및 생산공정 최적화"             가 세계적인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는데 필요한 주요 기술로 설정하였습니다.

     -  경제적 환경: 의료비용의 급증, 시장의 확대 및 다변화

     - 사회적 환경: 삶의 질 향상 위한 요구 증대, 고령화 사회 도래 및 생산 인구 감           소, 안정성이 확보된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요구 증가

     - 기술적 환경:

        ① 유전자 분석기술의 비약적 발전

        ② 만성/난치성 질환 발병율 증가에 따른 바이오신약 개발 요구 확대,

         : 바이오의약품은 질병의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 규명에 따른 해결책 모색을 통           해 개발되므로 저분자 합성신약으로 해결하지 못한 난치성 질병 치료에 효과           적일것으로 기대됩니다.

         : 2008년 기준 저분자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의 판매액 비율은 각각 83% 와 17          % 이었으나, 2014년에는 77 %와 23 %의 비율로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③ 바이오마커에 의한 예방의학으로 변화

        ④ 개인맞춤형 치료방식으로의 변화

     

    ( 출처 : 다이노아 2015년 사업고보서 중 발췌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치료제 산업 연혁  (0) 2016.04.13
    항체치료제 시장  (0) 2016.04.11
    바이오산업  (0) 2016.04.09
    실험동물 산업  (0) 2016.04.07
    X-ray 시스템 산업 성장성  (0) 2016.04.06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