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문화산업의 현황
인간의 생활여건이 윤택해지면 여가의 중요성과 재미를 추구하는 성향이 높아지게 되며, 이러한 요구들은 관련산업의 성장을 불러오게 됩니다. 현대 사회의 생활과 문화를 주도하는 중심산업으로서의 문화산업은 소비자에게 즐겁고 만족할 만한 경험을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영화, 라디오, TV방송, 음악, 카지노 및 스포츠, 행위예술, 테마파크, 장남감, 전시 및 뮤지컬, 공연 등을 포함하는 산업입니다.
최근 IT기술의 급성장에 따른 DMB, IPTV, Wibro 등 다양한 신미디어의 등장과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해외시장에서의 국내 문화콘텐츠에 대한 높은 호응도 동 산업의 성장과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특히, 드라마 산업은 국내 문화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며 지상파를 중심으로 케이블 및 위성방송, 나아가 IPTV 및 Wibro와 같은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랫폼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관련산업의 성장은 앞으로도 동 산업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나) 문화산업의 특성 및 경쟁요소
방송영상물 제작 및 전시 컨벤션 산업은 문화산업에 해당하며, 동 산업은 협의의 개념으로는 오락의 요소가 상품의 부가가치 형성에 커다란 역활을 하는 산업을 의미하며, 광의의 개념으로는 문화와 예술분야에서 창작되거나 상품화되어 유통되는 모든 단계의 산업을 의미합니다.
특히 문화산업중 방송영상물은 영화의 경우와 같이 해외 배급 및 관객의 수에 의해 손익이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기획단계에서 부터 방송사와의 사전협의 및 계약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속에서 성장해 가고 있는 산업입니다.
방송영상물 사업의 핵심 경쟁요소는 인적자원으로서, 창의력 있는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업만이 산업내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컨텐츠의 제작과 유통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의 Value Chain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근 문화산업에 종사하거나 계획을 가진 기업들은 Value Chain 통합을 통해 산업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컨텐츠 프로덕션간의 제휴 및 합병 등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관련업체에 대한 M&A와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하여 신사업분야를 신속하게 선점할 수 있는 기업만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드라마 외주 제작시장의 성장
방송콘텐츠 산업의 Value Chain은 제작과 유통으로 구성됩니다. 광대역 통신기술의 발전과 소비자 소비패턴의 다양화 등으로 유통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Value Chain이 형성되기 시작됨에 따라 유통의 창구가 크게 확대되고, 이에 따른 유통회사간의 경쟁은 심화되는 반면 제작부분의 가치는 과거에 비하여 더욱 더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최근 주간단위 시청률 상위 20위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50%가 드라마 프로그램이며, 상위 10개 프로그램 중 6-7개가 드라마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방송사 입장에서는 드라마의 성공이 시청율 경쟁 및 광고수익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한류)의 성장에 따라 드라마 제작규모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방송사의 드라마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책정의 한계로 인하여 외주 제작비중이 점차 증가해 왔으며, 정부의 외주정책(통합방송법 국회통과 : 2005년까지 의무외주비율을 4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또한 의무외주비율의 지속적인 확대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습니다. 이에 따라 미니시리즈 드라마를 중심으로 외주 독립제작사들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지상파 방송국 드라마 편성 현황>
드라마 편성 종류
총 편수
외주제작 편수
일일드라마
4
1
월화드라마
16
16
수목드라마
20
17
주말극
7
3
특별기획 드라마
9
7
일일 아침 드라마
11
2
금요 드라마
5
5
시트콤
7
2
지상파 합계
79
53
케이블 드라마
7
7
합 계
86
60
(자료 : 2006년 방송산업실태보고서 참고 추정치)
시장규모를 보게 되더라도 지상파 방송국의 외주제작비는 2001년 이후 매년 12%-24%씩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계속 될 전망입니다.
<방송3사 외주제작비 현황> (단위 : 백만원)구 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KBS
77,066
83,875
99,575
101,787
95,855
MBC
44,604
45,243
56,722
38,679
71,724
SBS
33,731
59,535
76,790
87,089
86,358
합 계
155,401
188,653
233,087
227,555
253,837
증감율
16%
21.4%
23.6%
-2.4%
11.6%
(자료 :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방송위원회)
또한, 총제작비에서 외주제작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게 되더라도 2003년 이후 매년 30% 이상의 큰폭의 증가를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5년 방송3사 외주제작 비율> (단위 : 백만원)구 분
총제작비
외주제작비
외주제작비율
KBS
287,741
95,855
33.3%
MBC
213,390
71,724
33.6%
SBS
230,378
86,358
37.5%
합 계
731,509
253,937
34.7%
(자료 :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방송위원회)
다매체 다채널화, 미디어 믹스 등 콘텐츠 산업의 환경변화로 인한 드라마 수요확대는 드라마 외주 제작업체 성장의 큰 기폭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 지상파 방송국을 통해 판매되던 드라마가 케이블, 위성TV, DMB, IPTV, Wibro 등 점차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수요층에 접근됨에 따라 드라마 외주제작사의 사업의 확장성 및 수익성이 대폭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출처 : 크리에이티브리더스 전자공시자료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