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인식 사업 개요
가. 업계현황 및 전망
(1) 산업 개황
바이오인식 산업 분야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정맥인식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 인식 업계에 속하며 이 분야 중 지문 인식 분야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인식 기술은 사람의 생체적인 특징을 수학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바이오인식 기술은 비밀 번호 인증이나 다른 식별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시장에서 개인 보안 인증으로서의 그 필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이러한 보안적인 특징과 사용자 편의성으로 인해 차세대 핵심 인증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공인 인증서의 보안 대체 수단으로서 그리고 모바일 인증 수단으로서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기술 보급 및 정보 통신 인프라의 확대가 광범위하게 진행 되고 있으며, 개인 정보 유출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기술·사회·문화적 니즈와 맞물려 바이오 인식 기술과 다양한 정보 통신 기술과 융합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바이오 인식 산업은 이제 성장 가능성만 예측 되던 시기가 지나고 급속 성장 궤도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오인식 분야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문 인식 산업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특성가) 높은 기술진입장벽이 존재하는 산업
바이오 인식 산업은 인간의 신체 일부 또는 행동 특성을 IT산업과 접목한 분석 시스템을 통해 본인만이 보유한 특징을 인증 수단으로써 사용하는 산업입니다. 개인별 바이오 특징에 대한 통계학적 데이터 축적 및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적 신뢰성 확보가 요구되는 산업이며,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 등록 등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게 구축되어 있는 산업으로, 기술적 노하우 및 연구개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소수의 시장 참여자에 의해 산업이 유지/발달되고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 개발, 생산 과정의 노하우, 고객 사이트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대응 능력 등은 기술적 진입장벽을 더욱 견고히 하는 요인들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나) 성장단계의 첨단산업
바이오 인식 산업의 경우 산업초기인 90년대 이전에는 기술적 안정성 부족, 높은 가격, 경험 부족,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시장의 발전 속도가 더뎠으나, 90년대 이후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기술적 안정성 확보, 센서의 소형화 및 다양화를 통한 기술의 집적도 향상, 제품 가격의 인하, 편의성 증대 및 보편적 기술로의 자리 매김을 통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로 적용 분야를 넓혀 가고 있습니다. 특히 2001년 9.11 테러를 기점으로 보안 의식이 강화 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이 성장하기 하였으며, 2013년을 기점으로 모바일 지문 인증 시장이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 공공사업을 기반으로 확대되는 산업
바이오 인식 시장은 현재 세계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바이오인식 사업화가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장의 규모도 동반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출입국 시에 외국인 지문을 강제로 입력 받는 시스템을 초기에 도입하였으며 미국과 비자 면제 협정국 대상으로 우선 사업이 확대 되고 그 파급 효과에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 되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인들 또한 자연스레 이해도가 높아지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에도 출입국 간소화를 위해 지문 인식 기술을 도입하였으며 경찰청 182센터에서는 노약자 대상 미아 및 실종자 검색을 위한 지문 검색 시스템을 도입하여 대 국민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0년에는 법무부에서 주관하여 추진한 "외국인 지문 확인 시스템"의 성공적인 시범 서비스를 통하여 2011년 본 사업을 추진하여 공공 분야에서의 바이오 인식 기술 적용 분야를 넓혀 가고 있습니다.
라) 국가간 바이오인식 데이터 호환 및 표준화가 확대되고 있는 산업
국가 및 기업별로 각각의 바이오 인식 알고리즘 기술에 의해 구현이 되고 있으며 국가간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ICAO(국제 민간 항공 기구) 를 중심으로 ISO 표준을 채택하여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미국의 Exit/Entry 사업의 일환으로 비자 면제 국에게 면제를 위한 기본 조건으로 제시 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와 유사한 출입국 사업을 ICAO에서 제시하고 있는 LDS(Logical Data Structure)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습니다.
바이오 인식 산업의 경우 수집된 DB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가 구축이 되어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국가별로 바이오 인식 정보의 수집 사업을 선 시행 후 인증 시스템으로의 확대를 분리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준이 되어 버린 FBI 산하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에서 바이오 인식 데이터의 품질 기준을 명시 하고 그에 적합함을 인정 받을 경우 국제 표준처럼 통용되어 지고 있습니다. 다만 인도, 중국 등은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써 독립적인 시장우위를 점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3) 국내·외 시장규모 추이
바이오인식 기술은 정보기술(IT)과 결합되어 다양한 분야로 접목되어 왔으며 지문뿐만 아니라 신체의 여러 부분의 특징을 이용하여 신분확인과 개인인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습니다. International Biometric Group(이하 IBG)의 시장조사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전세계 시장규모가 2억 달러에 불과하던 바이오인식시장은 2009년 34억 달러, 2013년 7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여 연평균성장률 2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인식 기술에는 지문인식기술을 포함하여 홍채인식, 정맥인식, 얼굴인식 등 여러 종류의 기술이 있으나, 당사의 사업기반기술인 지문인식 관련 시장이 높은 보안성과 실용성을 바탕으로 약 24억 달러의 시장규모로 전체시장의약 30.9%를 차지하며 전체 바이오인식 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세계 바이오인식 및 지문인식 시장규모 전망]
(단위 : 백만달러)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CAGR
전체바이오인식 기술 시장
3,422.3
4,356.9
5,423.6
6,581.2
7,846.7
23.05%
지문인식 기술 시장
971.0
1,380.9
1,740.1
2,064.1
2,422.9
25.68%
지문인식 기술 시장 비중
28.4%
31.7%
32.1%
31.4%
30.9%
-
출처) IBG `Biometric Market and Industry Report 2009~2014`
바이오인식 시장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3년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북미시장이 전 세계 시장의 30.9%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아시아/태평양 시장이 22.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보안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이오인식 산업의 특성상 주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 발달해 왔으나, 앞으로는 경제성장과 사회고도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인 아시아 지역에서 바이오인식 산업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인도는 국가적인 정책 하에 바이오인식을 이용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남미, 동남아를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해마다 프로젝트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지역별 바이오인식 시장 규모]
(단위: 백만달러)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남미
304.6
395.6
502.2
621.3
794.9
918.2
아시아
828.2
1,035.2
1,264.8
1,505.8
1,760.8
2,061.2
중동/인도
355.9
481.0
633.5
810.8
1,016.9
1,274.2
유럽
708.4
857.4
1,012.0
1,160.9
1,304.1
1,461.6
북미
1,031.1
1,320.1
1,654.2
2,020.4
2,424.6
2,913.7
아프리카
195.1
267.5
356.9
462.0
585.4
740.1
합계
3,422.3
4,356.8
5,423.6
6,581.2
7,846.7
9,369.0
출처) IBG `Biometric Market and Industry Report 2009~2014`
국내 바이오인식 시장을 살펴보면 2012년 1,716억 원의 규모를 이루고 있으며 이 중에서 지문인식은 1,186억 원으로 약 69.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평균 성장률이 22.8%를 이루며 2017년 국내 바이오인식 시장 매출이 4,282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오인식 제품 및 솔루션에 대한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가 시장의 다각화와 함께 매출 규모의 증대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국내 바이오인식 및 지문인식 시장규모 전망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내정보 보호산업실태조사(2013)`
바이오인식 산업은 독자적인 별도의 산업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지문인식을 비롯한 바이오인식 기술을 여러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 영역에 적용하여 시장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정보물리보안 산업은 바이오인식 기술 진출이 기대되는 분야로 세계 지식정보보안 시장규모는 2011년 기준 약 2,995억 달러 규모로, 이 중 국내 지식정보보안시장은 약 45억 달러 규모로 전 세계 시장의 1.5%를 점유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원천 기술의 발전, 해외 진출 규모의 증가 등으로 연평균성장률 32.9%를 보이며 2025년에는 약 1,579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경기변동과의 관계바이오 인식 시장의 경우 세계적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 차원에서 사업화가 주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경기상황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국내 시장의 경우 공공분야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원이 선진국 대비 미미한 수준이나,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례의 급증 등으로 인한 정책적 대책의 필요성 인식 및 전반적인 보안의식 향상은 바이오 인식 시장 확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바이오인식 시장은 미국 9.11 테러사건을 기점으로 테러리즘, 국가안보, 신분사기 근절 등 사회·정치적 명분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활발한 연구개발과 국제표준화가 신속하게 진행되면서 성장기를 맞았습니다. 이후 전자여권·선원신분증·국제운전면허증 등 항공·선박·자동차와 같이 국제통용 ID카드 형태의 정부·공공분야에서 전세계가 강력한 인증수단인 바이오인식 기술을 사용하면서 북미·유럽시장 등 선진국의 경우 성숙기로 전환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 그 중에서도 인도의 경우 최근 바이오인식 시스템 시장에서 급부상하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2010년 11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주민증 등록사업인 아드하르(Aadhaar) 프로젝트를 출범하는 등 2020년까지 최대 40억 달러를 투자하여 연 40%수준의 성장이 예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주변 국가에서도 보안제품으로서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어 아시아 지역은 본격적인 성장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급결제·원격진료서비스·지능형 CCTV 등 민간분야에서 바이오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기기인증 및 모바일 응용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수단으로서 활용하는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이 발전·진화되고 있는 추세여서 해당 산업에서는 또 다른 성장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6) 대체시장의 현황
출입통제, 근태관리시장에서의 지문인식 제품은 기존의 열쇠나 비밀번호, 카드키 등의 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며 요즘에는 얼굴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방법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쇠나 비밀번호, 카드키는 분실 및 도난, 부정사용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보안성이 높은 지문인식이 해당 시장으로 도입되어 기존 시장을 대체해온 것이며 얼굴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기타 바이오인식 기술의 경우 고가의 도입 비용, 인식률 문제 등으로 기존 시장을 대체하기에는 아직 어려울 전망입니다. 그에 비하여 지문인식의 경우 시설 및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도입 초기에 비해 비용도 낮아져 점차 시장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출입통제/근태관리시스템 인증수단 비교]구분
열쇠
비밀번호
카드키
지문인식
얼굴/홍체인식
분실/도난
쉬움
쉬움
쉬움
어려움
어려움
복제
쉬움
쉬움
쉬움
어려움
어려움
유일성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도입비용
낮음
낮음
낮음
중간
높음
(7) 경쟁 상황
세계 바이오인식 산업은 주로 선진국 기업들과 중국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데, 특히 , 미국, 프랑스 기업들이 기술적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 바이오 인식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기준 약 1% 수준으로 미미하나 바이오 인식 기술 경쟁력 측면, 특히 지문인식 기술 측면에서는 세계 Top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인식 기술별 세계 주요 업체 현황 및 기술 경쟁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바이오인식 기술 및 기업별 경쟁력 분석]
주요기술분야
구분
주요기업
경쟁력분석
지문인식
세계
- L1 Identity(미국)
- Cogent Systems(미국)
- NEC(일본)
- 각 기업마다 고유 알고리즘 특허 보유
- AFIS 기반 시장 성장, 정부 대형 프로젝트 수주
국내
- 유니온커뮤니티
- 니트젠
- 슈프리마
- 세계 지문인식 평가대회(FVC) 및 NIST 주관
지문인식 호환성능 평가대회 세계최고
- 지문인식 성능 세계 Top 10 수준(FVC2004)
- 지문 템플릿 보호 기술 특허 보유
얼굴인식
세계
- L1 Identity(미국)
- Cognitec(독일)
- NEC(일본)
- Google(미국)
- 고유 알고리즘 특허 보유
- 근거리 얼굴인식 위주 제품
국내
- 올라웍스
- 포항공대
- 퍼스텍
- 원천기술 보다는 응용 기술위주
- 휴대폰 및 출입통제기 위주의 응용제품
- 얼굴인식 관련 다수 특허보유
- 비대면 얼굴검색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보유홍체인식
세계
- L1 Identity(미국)
- 휴대형 양안 홍채 인식 제품
- 홍채 인식 원천 특허보유
국내
- 아이리텍
- 홍채 인식 알고리즘 핵심기술 보유
- 원거리 얼굴/홍채 인식 기술 보유
- 홍채인식 핵심특허 기술 보유
기타
바이오인식세계
- Fujitsu(일본/손바닥정맥)
- Hitachi(일본/지정맥)
- 정맥, 서명, 손모양, 음성인식 기술 특허바탕으로
상용화 수준
국내
- 테크스피어(손등 정맥
- 원천 특허를 바탕으로 손등 정맥 시장
독점(시장규모 미미)
출처) Internet & Security Focus(2013.03)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및 표준화 동향'
(8) 규제 및 지원
세계적으로 출입국 심사 등 국토보안 분야에 바이오인식 기술의 접목이 한층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국가차원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바이오인식의 공공분야 도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바이오인식 산업 활성화의 전환점이 된 2005년 12월 바이오인식 종합 인프라 구축계획이 수립된 이래, 정부차원의 다양한 시범사업들이 각 부처별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관할부처
추진내용
지식경제부
- 2001년 2월 산학연 바이오 인식 전문가 그룹인 한국바이오인식포럼KBA, Korea Biometrics Association)을 구성·운영 중이며 바이오 인식 핵심 기술 및 응용 기술은 ETRI를 통하여 시험 평가 등 바이오 인식 응용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는 KISA를 통하여 바이오 인식 산업의 발전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임
- 2006년 6월에는 국내 바이오 인식 제품의 국제 호환과 정확성 검증을 위한 시험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수출 지원을 위하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내에 바이오 인식 정보시험센터(K-NBTC, Korea-National Biometric Test Center)를 설립·운영하고있음
과학기술부
- 과기부에서는 2002년 2월부터 연세대 내에 생체 인식 연구 센터(Biometric Engineering Research Center: BERC)를 운영하여 바이오 인식 원천 기술을 개발 중임
외교부
- 외교부는 2008년 11월 미국과의 비자면제 협정 체결과 함께 전자여권(e-Passport) 발급을 위하여 UN산하 국제 민간 항공 기구인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Doc.9303 기술 권고에 따라 비접촉식 IC칩 내에 여권신청자의 사진 전사식 얼굴 영상을 탑재하기로 하였으며 관용여권부터 시작하여 대국민 대상으로 신청자에 한하여 전자여권을 발급 하고 있음
- 전자여권의 활용부처인 법무부에서는 국내 국제공항에 출·입국하는 내외국인 대상으로 자발적인 신청자에 한하여 출입국신청자의 지문정보가 활용하는무인출입국 서비스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음
해양수산부
- 해수부에서는 2006년 2월부터 외국항만을 출입하는 선원에 대하여 지문정보를 탑재하는 전자선원신분증(e-SID) 발급시스템을 추진 하고 있음
안전행정부
- 안전행정부는 위변조에 강인한 차세대 전자식 주민등록증발급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지문인식기술을 활용한 주민증 진위 확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중에 있으며 또한 대국민 민원서류를 자동으로 발급하여주는 무인 민원발급기에 모조 지문탐지 기능을 탑재한 지문 인식기를 대체 도입 중임
국토교통부
- 국토부에서는 인천 김포 등 국제 공항에 바이오 인식 지문정맥시스템을 설치하여 공항의 상주 직원에 대한 출입 통제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하고 있음
(9) 향후 전망
주요 시장예측기관의 바이오 인식 시장규모 예측치를 살펴보면, 'IBG(2009) 분석보고서'에서는 2013년 78억 달러에서 2014년 94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Frost & Sulivan(2012)은 세계시장규모를 2010년 44.9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CAGR) 14.1%로 성장하여, 2019년 146.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바이오인식 시장 규모 전망
출처) Golbal Civil and Military Biometrics Market Assessment", Frost & Sullivan, 2012 ; "Biometrics Market and Industry Report 2009-2014", IBG, 2009
국내 바이오인식 시장을 살펴보면 2012년 1,716억 원의 규모를 이루고 있으며 이 중에서 지문인식은 1,186억 원으로 약 69.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평균 성장률이 22.8%를 이루며 2017년 국내 바이오인식 시장 매출이 4,282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오인식 제품 및 솔루션에 대한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가 시장의 다각화와 함께 매출 규모의 증대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바이오인식 및 지문인식 시장규모 전망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내정보 보호산업실태조사(2013)`
( 출처 : 유니온커뮤니티 전자공시 자료 2015년 6월 1일 사업보고서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산업 (0) 2016.03.28 바이오 / 제약 / 의료산업 (0) 2016.03.26 바이오 산업 시장 현황 및 예측 (0) 2016.03.17 바이오 산업 경기변동과의 관계 (0) 2016.03.16 바이오 산업 (0) 2016.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