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건물관리 서비스 산업
    기타 2016. 5. 12. 04:30

    건물관리 서비스 산업

    [산업의 특성 및 개요]
     건물관리 서비스 사업은 건물 통합관리 솔루션 사업으로 시설관리 중심의    FM(Facility Management), 건물 자산의 운영수익을 극대화하는 PM(Property   Management) 및 에너지관리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FM사업은 시설운영, 유지보수, 보안, 미화, 주차, 안내 등 건물 시설관리 전반의 운영 및 유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PM사업은 건물의 예산 수립 및 관리, 임대차관리, 빌딩 운영수익 향상방안 수립,  부동산 운영 리스크관리, 투자자문, 기타 수입관리 등 고객의 부동산 가치를 극대화 하는 사업입니다.

      IMF 이전의 국내 대형빌딩들은 대부분 대기업들이 소유하면서 매매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건물주의 사업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단순 건물 및 시설관리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IMF 이후 외국계 부동산 투자사의 국내진출이 확대되고 부동산펀드에 의한 간접투자시장이 확대되면서 전문역량을 갖춘 부동산 및 건물관리 업체에 대해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안전성과 쾌적성 관리를    넘어 임대마케팅, 컨설팅 등 다양한 건물자산 관리서비스가 중시되고 있습니다.

     에너지 관리사업은 건물에너지 효율제고를 위한 노후설비 교체사업, 현장 설비관리 노하우를 ICT기술로 융합한 네트워크 기반의 24시간 건물설비 모니터링 서비스와,  성과보증 기반의 건물 에너지관리 시스템인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구축 및 운영이 중심이 되는 사업으로, 아직 국내는 시장 개화 단계이나 향후 관련 정책 강화 및 시장의 니즈 확대로 높은 성장이 예상됩니다.

     

    [산업의 성장성]

     국토교통 통계누리에 의하면 2015년 기준 전국의 총 빌딩 수는 주택용, 상업용,  공업용, 문화사회용 기타 용도로 6,986,913동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중 건물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6층 이상 고층건물은 175,269동으로 전년에 비해  5.46%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들어 건물의 전문적 관리 필요성 증대와 대형건물,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지능형 빌딩시스템)의 등장으로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건물관리 사업은 내수업종으로 건설경기변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으나 1∼3년 정도의 장기계약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대한 영향이  적은 사업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등]
    경제발전과 더불어 첨단, 대형화된 건물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설 유지 및 운영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대형건물 신축 규모의 감소로 단기적인 성장 둔화가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건물의 가치를 유지하고 건물내의 시설 및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활동이 증가되어 건물관리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등]

     에스원의 건물관리 사업역량은 국내 최상위권 수준으로 오피스빌딩, 병원, 연구소, 연수원 등 다양한 유형의 건물관리 경험을 통해 축적된 선진매뉴얼,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표준운영절차) 및 사고예방 체계 구축 등 차별화된 건물관리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동산 라이프 사이클별로 필요한 투자자문, 매매자문, 리서치, 임대차 컨설팅 및 FM(Facility Management)운영 컨설팅 등 다양한 부동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인력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업의 미래 비전 및 신규사업]

     2014년 1월 10일 양수한 건물관리사업의 인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존 보안 시스템 서비스 사업의 관제기술과 서비스 인프라를 접목한 새로운  건물관리 서비스 발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영업채널 공유, 인프라 통합 등  사업간 시너지 효과도 가시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주택임대관리 및 건물에너지 효율화 사업 등 장기 수익기반 구축을 위한

     신사업발굴 노력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 입니다.

    ( 출처 : 에스원 2015년 사업보고서 내용중 일부 발췌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자동차 재활용 산업  (0) 2016.05.14
    건설폐기물재활용 및 매립 산업  (0) 2016.05.13
    보안시스템 서비스 산업  (0) 2016.05.11
    IR산업  (0) 2016.05.03
    컨벤션 산업  (0) 2016.05.03

    댓글

Designed by Tistory.